맨위로가기

K3리그 (아마추어)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K3리그는 대한민국 아마추어 축구 리그로, 2007년 시범 리그를 시작으로 2020년 K4리그 출범 전까지 운영되었다. 2007년 서울 유나이티드의 우승으로 시작하여, 2011년 챌린저스리그로 명칭이 변경되었다가 2015년 K3리그로 다시 변경되었다. 2017년에는 K3리그 어드밴스와 K3리그 베이직으로 분리되어 승강제를 실시하였으며, 2020년 내셔널리그, K3리그 어드밴스, K3리그 베이직을 통합하여 세미프로 리그인 K3리그와 K4리그로 재편되었다. 리그는 여러 차례 운영 방식의 변화를 겪었으며, 2018년에는 23개 구단이 참가하였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K3리그 - 천안축구센터
    천안축구센터는 2002년 FIFA 월드컵 잉여금으로 건립되어 2009년 2월에 개장했으며, 천연 잔디 및 인조 잔디 구장, 주 경기장 등의 시설을 갖추고 있다.
  • K3리그 - K3리그 어드밴스
    K3리그 어드밴스는 2017년 K3리그 분리 후 출범한 대한민국 4부 축구 리그로, 2016년 K3리그 상위 12개 팀이 참가하여 수도권에 구단이 집중되어 있으며 포천 시민축구단이 최다 우승팀이고 K4리그로 강등될 수 있다.
  • 아시아의 축구 4부 리그 - K3리그 어드밴스
    K3리그 어드밴스는 2017년 K3리그 분리 후 출범한 대한민국 4부 축구 리그로, 2016년 K3리그 상위 12개 팀이 참가하여 수도권에 구단이 집중되어 있으며 포천 시민축구단이 최다 우승팀이고 K4리그로 강등될 수 있다.
  • 아시아의 축구 4부 리그 - 일본 풋볼 리그
    일본 풋볼 리그는 1999년 J2리그 출범 후 일본 축구 리그 시스템의 4부 리그에 해당하며, 기존 JFL 클럽 중 일부는 J1리그에서 경쟁하기도 했고, 2019년부터 단일 리그 형식으로 운영되고 있는 아마추어 축구 리그이다.
  • 2007년 설립된 스포츠 리그 - 베이스볼 챌린지 리그
    베이스볼 챌린지 리그는 2007년 일본에서 출범한 독립 야구 리그로, 현재 7개 팀이 1개 지구 체제로 운영되며, NPB 팜 리그 진출을 목표하는 선수들의 등용문 역할을 한다.
  • 2007년 설립된 스포츠 리그 - 방글라데시 프리미어리그
    방글라데시 프리미어리그(BPL)는 2007년 출범한 방글라데시 최상위 프로 축구 리그로, 아바하니 리미티드 다카가 최다 우승을 기록하고 있으며, 승강제를 통해 운영되고 리그 우승팀은 AFC 챔피언스리그 진출 자격을 얻는다.
K3리그 (아마추어)
기본 정보
K3리그 로고
국가대한민국
주관 단체대한축구협회
창립2007년
폐지2019년
리그 수준3부 (2007–2012), 4부 (2013–2016), 4–5부 (2017–2019)
국내 컵 대회대한민국 FA컵
리그 컵 대회챌린저스컵
최다 우승 구단포천시민축구단 (6회)
리그 구조
하위 리그K3리그 어드밴스, K3리그 베이직
승격승격 없음
강등강등 없음
K3리그 어드밴스 (2019년)
최근 우승 구단화성 FC
K3리그 베이직 (2019년)
최근 우승 구단울산시민축구단
일본어 정보
대륙 연맹 (일본어)AFC
첫 시즌 (일본어)2007년
폐지 연도 (일본어)2019년
리그 수준 (일본어)4부 및 5부
국내 컵 (일본어)FA컵
리그 컵 (일본어)챌린저스컵
최근 우승 (일본어)춘천시민축구클럽 (2012년)
한국어 정보
리그 구분 (한국어)K3리그 어드밴스 (4부리그), K3리그 베이직 (5부리그)
팀 수 (한국어)24
상위 리그 (한국어)내셔널리그

2. 역사

K3리그는 2007년에 발족하였다. 2007년 시범리그로 첫 대회를 열었고, 서울 유나이티드의 우승으로 막을 내렸다.

정식으로 운영된 2008 시즌은 대구 한국 파워 트레인이 빠지고, 7개 팀이 추가로 참여하면서 16개 팀으로 리그가 꾸려졌다. 2008년에 새로 참가한 팀은 광주 광산 FC, 고양시민축구단, 경주시민축구단, 남양주시민축구단, 부천 FC 1995, 전주 온고을 FC, 포천시민축구단이다. 하지만, 2008년 후기리그에 창원 유나이티드의 탈퇴로 K3리그의 팀수는 15개로 줄어들었고 승부 조작 사건이 터지면서 서울 파발 FC가 해체되어 14개 팀으로 줄어들었다.[8] 우승은 양주시민축구단이 차지하였다.

2009 시즌은 서울 마르티스 FC와 이천시민축구단, 그리고 청주 직지 FC가 추가로 참가하면서 17개 팀으로 운영되었다.[9] 단일리그로 진행되었으며 우승컵은 포천시민축구단이 차지했다.

2009년 12월 1일 대한축구협회서울 양천 FC, 춘천 FC, 영광 FC 등 세 팀의 2010년 리그 참가를 승인하였다.[10] 2010년 1월 15일 대한축구협회는 2010년 K3리그 스케줄을 공개하면서 서울 양천 FC전주 온고을 FC는 2010년 리그에 참가하지 않는다고 발표하였다.

2011년부터 리그 명칭이 변경됨에 따라 기존의 K3리그라는 명칭 대신 '''챌린저스리그'''(Challengers League)라는 명칭을 사용하게 되었으며 혼돈을 막기 위해 띄어쓰기 없이 챌린저스리그로 통일되었다. 2014년부터 '''K3 챌린저스리그'''(K3 Challengers League)로 리그 명칭이 변경되었다.[11]

2015년 K리그 챌린지 및 챌린지리그와의 혼란을 없애기 위해 다시 '''K3리그'''로 변경되었다. 또한 2015년부터는 선수 규정이 변경되어 외국인 선수를 3명 보유하고 2명을 출전시킬 수 있게 되었다.[12]

2016 시즌부터 서울 FC 마르티스가 빠지고 시흥시를 연고로 하는 시흥시민축구단부여군을 연고로 하는 부여 FC, 양평군을 연고로 하는 양평 FC가 참가한다. 2017시즌부터 K3리그의 하부격 리그가 신설된다. 이에 따라 K3리그는 K3리그 어드밴스로 변경되고 신설되는 하부리그인 K3리그 베이직과는 승강제를 실시한다. 2016 시즌 리그를 치른 결과 1위부터 11위는 자동으로 잔류한다. 리그 12위부터 15위는 K3리그 승격 플레이오프에 참가해 우승한 단 1팀만이 추가로 잔류한다. 승격 플레이오프에서 탈락한 3팀 및 리그 최하위를 기록한 5팀은 강등된다. 2017년부터 K3리그에 새롭게 참가하고자 하는 팀은 자동적으로 K3리그 베이직에서 시즌을 시작한다.[13]

2020년에 내셔널리그, K3리그 어드밴스, K3리그 베이직을 통합하여 세미프로 리그로 출범하기 위해 2018년부터 단계적으로 세미프로 리그로 전환하여,[14][15][16] 2020년에 K3리그K4리그가 출범했다.

2. 1. 출범과 초기 (2007-2010)

K3리그는 2007년 10개 팀으로 발족하여 시범리그로 첫 대회를 열었고, 서울 유나이티드가 초대 우승을 차지했다. 정식으로 운영된 2008 시즌에는 대구 한국 파워트레인이 탈퇴했지만, 광주 광산 FC, 고양시민축구단, 경주시민축구단, 남양주시민축구단, 부천 FC 1995, 전주 온고을 FC, 포천시민축구단 등 7개 팀이 합류하며 16개 팀으로 확대되었다. 그러나 시즌 중 창원 유나이티드가 탈퇴하고, 서울 파발 FC가 승부조작 사건으로 해체되면서 14개 팀으로 줄어들었다.

2009 시즌에는 서울 마르티스 FC, 이천시민축구단, 청주 직지 FC가 합류하며 17개 팀으로 운영되었고, 포천시민축구단이 우승을 차지했다.

2010년에는 서울 양천 FC, 전주 온고을 FC가 리그 불참을 선언했고, 춘천 FC, 영광 FC가 합류했다. 화성 신우전자가 삼척시로 연고 이전을 했다.

2. 2. 챌린저스리그 시대 (2011-2014)

2011년부터 리그 명칭이 기존의 K3리그 대신 '''챌린저스리그'''(Challengers League)로 변경되었으며, 혼돈을 막기 위해 띄어쓰기 없이 챌린저스리그로 통일되었다.[11] 2012년에는 아산 유나이티드가 탈퇴했다. 2013년에는 부천 FC 1995남양주시민축구단이 탈퇴하고, 김포시민축구클럽화성 FC가 합류했다. 2014년부터는 '''K3 챌린저스리그'''(K3 Challengers League)로 리그 명칭이 변경되었다.[11]

2. 3. K3리그 재도약 (2015-2019)

2015년, K리그 챌린지 및 챌린지리그와의 혼란을 없애기 위해 리그 명칭이 다시 'K3리그'로 변경되었다. 또한, 선수 규정이 변경되어 외국인 선수를 3명 보유하고 2명을 출전시킬 수 있게 되었다. 같은 해, 서울 FC 마르티스는 운영 미비로 5년간 자격 정지 처분을 받았다.

2016년에는 시흥시민축구단, 부여 FC, 양평 FC가 새롭게 리그에 합류했고, 서울 FC 마르티스가 탈퇴했다. 전남 영광 FC 또한 리그를 떠났다.

2017년, K3리그는 K3리그 어드밴스K3리그 베이직으로 분리되어 승강제를 도입했다.

2018년에는 베이직리그 소속의 부산 FC가 자금난으로 탈퇴했다.

2019년, 청주 FC와 청주 시티가 합병되었고, 울산시민축구단이 베이직리그에 참가했다. 반면, FC 의정부와 고양 FC는 리그에서 탈퇴했다.

2. 4. 세미프로 전환 (2020-)

2020년에 내셔널리그, K3리그 어드밴스, K3리그 베이직이 통합되어 세미프로 리그인 K3리그와 K4리그가 출범했다.[14][15][16] 2018년부터 단계적으로 세미프로 리그로 전환하기 시작했다.

3. 리그 구성

K3리그는 출범 이후 리그 운영 방식에 여러 변화를 겪었다.
과거2007년 대회에서는 홈 앤 어웨이 방식으로 18경기를 치렀고, 상위 네 개 팀이 플레이오프에 진출하여 우승을 가렸다. 2008년에도 정규 시즌이 두 단계로 진행된 후, 각 단계의 우승팀과 전체 순위 상위 두 팀이 챔피언십 플레이오프에 진출했다. 2009 시즌에는 플레이오프를 치르지 않고 순위를 결정하였다.

2010년에는 총 18개팀을 2개조로 나눠 같은 조끼리는 홈 앤드 어웨이로 2경기씩, 다른 조와는 1경기씩 팀당 총 25경기를 진행하였다. 리그 종료후 각조 상위 2개팀은 리그 챔피언십에 진출하여 최종 우승자를 가렸다. 2011년까지 준결승에 모든 네 개의 클럽이 진출했다. 2012년에는 전체 순위를 기준으로 3위와 4위 클럽이 1라운드에 진출했고, 1위 클럽은 결승(3라운드)에 직행했다.

2013년부터 2015년까지 K3리그에는 18개 팀이 소속되어, 9팀 씩 두 개 조로 나뉘어 조별 리그를 치렀다. 이후 각 조의 상위 세 팀 씩 플레이오프에 진출하여 우승 팀을 결정했고, 전체 순위를 기준으로 1위 클럽은 결승에, 2위 클럽은 준결승에 직행했고, 나머지 네 개의 클럽은 1라운드에 진출했다.

2016년부터 2019년까지는 모든 클럽이 그룹 없이 단일 리그에서 경기를 치렀으며, 상위 5개 클럽이 챔피언십 플레이오프에 진출했다. 정규 시즌 우승팀이 결승에 직행했고, 나머지 네 개의 클럽은 1라운드에 진출했다. K3리그 어드밴스트 하위 2팀과 K3리그 베이직 상위 2팀이 자동으로 승강하며, K3리그 어드밴스트 10위와 K3리그 베이직 3위부터 5위까지의 플레이오프 승자가 승강전을 치르는 승강제가 도입되었다.
현재 (2020-)2020년 이후 K3리그는 단일리그 및 플레이오프 방식으로 운영되고 있다.[4][5] 구체적인 내용은 매 시즌 발표되는 리그 규정을 따른다.

3. 1. 과거

2007년 대회에서는 홈 앤 어웨이 방식으로 18경기를 치렀고, 상위 네 개 팀이 플레이오프에 진출하여 우승을 가렸다. 2008년에도 정규 시즌이 두 단계로 진행된 후, 각 단계의 우승팀과 전체 순위 상위 두 팀이 챔피언십 플레이오프에 진출했다. 2009 시즌에는 플레이오프를 치르지 않고 순위를 결정하였다.

2010년에는 총 18개팀을 2개조로 나눠 같은 조끼리는 홈 앤드 어웨이로 2경기씩, 다른 조와는 1경기씩 팀당 총 25경기를 진행하였다. 리그 종료후 각조 상위 2개팀은 리그 챔피언십에 진출하여 최종 우승자를 가렸다. 2011년까지 준결승에 모든 네 개의 클럽이 진출했다. 2012년에는 전체 순위를 기준으로 3위와 4위 클럽이 1라운드에 진출했고, 1위 클럽은 결승(3라운드)에 직행했다.

2013년부터 2015년까지 K3리그에는 18개 팀이 소속되어, 9팀 씩 두 개 조로 나뉘어 조별 리그를 치렀다. 이후 각 조의 상위 세 팀 씩 플레이오프에 진출하여 우승 팀을 결정했고, 전체 순위를 기준으로 1위 클럽은 결승에, 2위 클럽은 준결승에 직행했고, 나머지 네 개의 클럽은 1라운드에 진출했다.

2016년부터 2019년까지는 모든 클럽이 그룹 없이 단일 리그에서 경기를 치렀으며, 상위 5개 클럽이 챔피언십 플레이오프에 진출했다. 정규 시즌 우승팀이 결승에 직행했고, 나머지 네 개의 클럽은 1라운드에 진출했다. K3리그 어드밴스트 하위 2팀과 K3리그 베이직 상위 2팀이 자동으로 승강하며, K3리그 어드밴스트 10위와 K3리그 베이직 3위부터 5위까지의 플레이오프 승자가 승강전을 치르는 승강제가 도입되었다.

3. 2. 현재 (2020-)

2020년 이후 K3리그는 단일리그 및 플레이오프 방식으로 운영되고 있다.[4][5] 구체적인 내용은 매 시즌 발표되는 리그 규정을 따른다.

4. 참가 구단

2018년 현재 K3리그에는 23개 구단이 참가하고 있다.[7]

클럽연고지홈구장수용인원가입년도
이천시민축구단이천이천종합운동장20,3052009년
포천시민축구단포천포천종합운동장7,0002008년
파주시민축구단파주파주스타디움23,0002012년
경주시민축구단경주경주시민운동장12,1992008년
전주시민축구단전주전주종합경기장30,0002007년
FC 의정부의정부의정부종합운동장28,0002014년
평창 FC평창평창종합운동장6,0002008년
청주 시티 FC청주청주종합운동장17,2642016년
서울중랑축구단서울 중랑중랑구립잔디운동장4002012년
화성 FC화성화성종합경기타운35,2702013년
춘천 FC춘천춘천종합운동장20,0002010년
청주 FC청주청주종합운동장17,2642009년
양주시민축구단양주양주고덕인조구장5472007년
서울 유나이티드서울 노원마들스타디움4462007년
고양시민축구단고양고양종합운동장41,3112008년
부여 FC부여부여종합운동장6,0002016년
시흥시민축구단시흥정왕동체육공원2002016년
양평 FC양평용문생활체육공원4002016년
부산 FC부산부산아시아드주경기장 보조 경기장15,0002017년
평택시민축구단평택소사벌레포츠타운15,0002017년
충주시민축구단충주탄금대 축구장6002018년
여주시민축구단여주여주종합운동장21,6002018년
울산시민축구단울산미상미상2018년



K3리그 구단 연고지(경기도)


K3리그 구단 연고지


K3리그에서 탈퇴한 구단들은 다음과 같다. 대구 한국파워트레인 축구단대구를 연고지로 2007년에 참가했다. 서울 파발 FC서울 은평을 연고지로 2007년부터 2008년까지 참가했다.[8] 창원 유나이티드는 창원을 연고지로 2007년부터 2008년까지 참가했다.[17] 전주 온고을 FC전주를 연고지로 2008년부터 2009년까지 참가했다. 삼척 신우전자 축구단삼척을 연고지로 2007년부터 2010년까지 참가했다. 용인시민축구단용인을 연고지로 2007년부터 2010년까지 참가했다.

부천 FC 1995부천을 연고지로 2008년부터 2012년까지 참가했다.[18] 남양주시민축구단남양주를 연고지로 2008년부터 2012년까지 참가했다. 아산 유나이티드아산을 연고지로 2007년부터 2013년까지 참가했다.[19] 서울 FC 마르티스서울 강북을 연고지로 2009년부터 2015년까지 참가했다.[20] 천안 FC는 천안을 연고지로 2007년부터 2015년까지 참가했다.[21] 영광 FC영광을 연고지로 2010년부터 2016년까지 참가했다.

전주 시민(2007–2019), 서울 노원 유나이티드(2007–2019), 양주 시민(2007–2019), 고양 시민(2008–2019), 경주 시민(2008–2019), 포천 시민(2008–2019), 평창 FC(2008–2019), 이천 시민(2009–2019), 청주 FC(2009–2019), 춘천 FC(2010–2019), 파주 시민(2012–2019), 서울 중랑(2012–2019), 김포 시민 FC(2013–2019), 화성 FC(2013–2019), FC 의정부(2014–2018), 시흥 시티(2016–2019), 양평 FC(2016–2019), 부여 FC(2016–2018), 청주 시티(2016–2018), 충주 시민(2017–2019), 평택 시민(2017–2019), 여주 시민(2017–2019), 부산 FC(2017–2018), 울산 시민(2018–2019)도 K3리그에서 탈퇴했다.

2019년 K3리그 어드밴스는 12개 팀, K3리그 베이직은 8개 팀으로 운영되었다.[7]

2019년 참가 클럽
클럽명홈타운가맹연도
어드밴스
경주 시민경상북도경주시2008년
포천 시민경기도포천시2008년
이천시민축구단경기도이천시2009년
김포 시민경기도김포시2013년
춘천 FC강원도춘천시2010년
청주 FC충청북도청주시2019년
화성 FC경기도화성시2013년
양평 FC경기도양평군2016년
평택 시민경기도평택시2017년
파주 시민경기도파주시2012년
시흥 시티경기도시흥시2015년
충주 시민충청북도충주시2018년
베이직
전주 시민전라북도전주시2007년
중랑 코러스 머스탱서울특별시중랑구2012년
양주시민축구단경기도양주시2007년
여주 세종경기도여주시2018년
평창 FC강원도평창군2008년
고양 시민경기도고양시2008년
서울 유나이티드서울특별시송파구2007년
울산시민축구단울산광역시중구2019년


4. 1. 현재 참가 구단 (2018년 기준)

2018년 현재 K3리그에는 23개 구단이 참가하고 있으며, 다음과 같다.[7]

클럽연고지홈구장수용인원가입년도
이천시민축구단이천이천종합운동장20,3052009년
포천시민축구단포천포천종합운동장7,0002008년
파주시민축구단파주파주스타디움23,0002012년
경주시민축구단경주경주시민운동장12,1992008년
전주시민축구단전주전주종합경기장30,0002007년
FC 의정부의정부의정부종합운동장28,0002014년
평창 FC평창평창종합운동장6,0002008년
청주 시티 FC청주청주종합운동장17,2642016년
서울 중랑 축구단서울 중랑중랑구립잔디운동장4002012년
화성 FC화성화성종합경기타운35,2702013년
춘천 FC춘천춘천종합운동장20,0002010년
청주 FC청주청주종합운동장17,2642009년
양주시민축구단양주양주고덕인조구장5472007년
서울 유나이티드서울 노원마들스타디움4462007년
고양시민축구단고양고양종합운동장41,3112008년
부여 FC부여부여종합운동장6,0002016년
시흥시민축구단시흥정왕동체육공원2002016년
양평 FC양평용문생활체육공원4002016년
부산 FC부산부산아시아드주경기장 보조 경기장15,0002017년
평택시민축구단평택소사벌레포츠타운15,0002017년
충주시민축구단충주탄금대 축구장6002018년
여주시민축구단여주여주종합운동장21,6002018년



4. 2. 과거 참가 구단

K3리그에서 탈퇴한 구단들은 다음과 같다. 대구 한국파워트레인 축구단대구를 연고지로 2007년에 참가했다. 서울 파발 FC서울 은평을 연고지로 2007년부터 2008년까지 참가했다.[8] 창원 유나이티드는 창원을 연고지로 2007년부터 2008년까지 참가했다.[17] 전주 온고을 FC전주를 연고지로 2008년부터 2009년까지 참가했다. 삼척 신우전자 축구단삼척을 연고지로 2007년부터 2010년까지 참가했다. 용인시민축구단용인을 연고지로 2007년부터 2010년까지 참가했다.

부천 FC 1995부천을 연고지로 2008년부터 2012년까지 참가했다.[18] 남양주시민축구단남양주를 연고지로 2008년부터 2012년까지 참가했다. 아산 유나이티드아산을 연고지로 2007년부터 2013년까지 참가했다.[19] 서울 FC 마르티스서울 강북을 연고지로 2009년부터 2015년까지 참가했다.[20] 천안 FC천안을 연고지로 2007년부터 2015년까지 참가했다.[21] 전남 영광 FC는 영광을 연고지로 2010년부터 2016년까지 참가했다.

전주 시민 (2007–2019), 서울 노원 유나이티드 (2007–2019), 양주 시민 (2007–2019), 고양 시민 (2008–2019), 경주 시민 (2008–2019), 포천 시민 (2008–2019), 평창 FC (2008–2019), 이천 시민 (2009–2019), 청주 FC (2009–2019), 춘천 FC (2010–2019), 파주 시민 (2012–2019), 서울 중랑 (2012–2019), 김포 시민 FC (2013–2019), 화성 FC (2013–2019), FC 의정부 (2014–2018), 시흥 시티 (2016–2019), 양평 FC (2016–2019), 부여 FC (2016–2018), 청주 시티 (2016–2018), 충주 시민 (2017–2019), 평택 시민 (2017–2019), 여주 시민 (2017–2019), 부산 FC (2017–2018), 울산 시민 (2018–2019)도 K3리그에서 탈퇴했다.

5. 경기장

경주시민축구단고양시민축구단김포시민축구단부여 FC서울 유나이티드
경주시민운동장고양어울림누리김포종합운동장부여종합운동장마들스타디움
수용인원: 12,199명수용인원: 41,311명수용인원: 5,068명수용인원: 6,000명수용인원: 446명
경주시민운동장
마들스타디움
시흥시민축구단양주시민축구단양평 FCFC 의정부이천시민축구단
정왕동체육공원고덕인조잔디구장용문생활체육공원의정부종합운동장이천종합운동장
수용인원 : 200명수용인원 : 547명수용인원 :28,000명수용인원: 20,305명
이천종합운동장
전남 영광 FC전주시민축구단중랑 코러스 무스탕청주 시티 FC청주 FC
영광스포티움전주대학교 인조구장중랑구립잔디운동장청주종합운동장
수용인원: 14,079명수용인원: 400명수용인원: 17,264명
춘천 FC파주시민축구단평창 FC포천시민축구단화성 FC
춘천종합운동장파주스타디움평창종합운동장포천종합운동장화성종합운동장
수용인원: 20,000명수용인원: 23,000명수용인원: 7,000명수용인원: 35,270명


6. 우승

wikitable

우승 클럽
2007서울 유나이티드
2008양주 시민 축구단
2009포천 시민 축구 클럽
2010경주 시민 축구 클럽
2011경주 시민 축구 클럽
2012춘천 시민 축구 클럽


6. 1. 시즌별 우승 구단

포천시민축구단은 K3리그에서 총 6회 우승하여 최다 우승 기록을 보유하고 있으며, 2017년에는 최초로 3연속 우승을 달성했다. 경주시민축구단은 3회, 화성 FC는 2회 우승을 기록했다. 서울 유나이티드와 양주시민축구단은 각각 1회 우승했다.

시즌팀수대회 방식우승준우승
200710전•후기 리그 + 4강 PO서울 유나이티드화성 신우전자
200810양주시민축구단화성 신우전자
200917단일 리그포천시민축구단평창 FC
201018양대 리그 + 4강 PO경주시민축구단삼척 신우전자
201116경주시민축구단양주시민축구단
201218포천시민축구단춘천시민축구단
201318양대 리그 + 6강 PO포천시민축구단파주시민축구단
201418화성 FC포천시민축구단
201518포천시민축구단경주시민축구단
201620단일 리그 + 승격 PO포천시민축구단청주 시티 FC
201712단일 리그 + 챔피언십포천시민축구단청주 시티 FC
201812경주시민축구단이천시민축구단
201912화성 FC양평 FC



K3리그 베이직의 시즌별 우승 및 준우승 구단은 다음과 같다.

시즌우승준우승
2017서울중랑시흥시민
2018시흥시민파주시민
2019울산시민전주시민


6. 2. 구단별 우승 횟수

구단우승준우승
포천시민축구단6회 (2009, 2012, 2013, 2015, 2016, 2017)1회 (2014)
경주시민축구단3회 (2010, 2011, 2018)1회 (2015)
화성 FC2회 (2014, 2019)
양주시민축구단1회 (2008)1회 (2011)
서울 유나이티드1회 (2007)
삼척 신우전자3회 (2007, 2008, 2010)
청주 시티 FC2회 (2016, 2017)
평창 FC1회 (2009)
춘천시민축구단1회 (2012)
파주시민축구단1회 (2013)
이천시민축구단1회 (2018)
양평 FC1회 (2019)


참조

[1] 웹사이트 리그 명칭 변경.(K3 챌린저스리그) http://www.seoulutd.[...] Seoul United 2014-03-03
[2] 웹사이트 2015 K3리그 대진추첨, ‘강팀 포진’ A조-‘이변 기대’ B조 http://www.kfa.or.kr[...] KFA 2015-01-28
[3] 뉴스 전주시민축구단, 14일 리그 홈 개막전 http://www.jeonmin.c[...] Jeonmin Ilbo 2015-03-12
[4] 웹사이트 한층 업그레이드 된 K3리그, 관전포인트 셋 https://sports.news.[...] KFA 2016-03-18
[5] 웹사이트 [K3리그 개막특집] 전문가 3인에게 한번 물어봤습니다. https://sports.news.[...] KFA 2017-02-23
[6] 웹사이트 2015 K3리그 대진추첨, ‘강팀 포진’ A조-‘이변 기대’ B조 http://www.kfa.or.kr[...] 대한サッカー協会 2015-01-28
[7] 웹사이트 K3리그 http://www.kfa.or.kr[...] 대한サッカー協会
[8] 뉴스 승부조작 K3축구 파발FC 해체 http://news.chosun.c[...] 조선일보(연합) 2009-01-14
[9] 뉴스 다음 K3축구리그, 2009시즌 17개 팀 참가 확정 http://www.gooddaysp[...] 굿데이스포츠(뉴시스) 2009-02-20
[10] 웹인용 K3, 춘천시민구단 등 3팀 참가 승인(한국축구신문2009년12월3일자) http://www.weeklysoc[...] 2009-12-04
[11] 뉴스 K3리그, 챌린저스리그로 명칭 변경 http://sports.news.n[...] 뉴시스 2011-01-25
[12] 뉴스 2015 K3리그 대진추첨, ‘강팀 포진’ A조-‘이변 기대’ B조 http://www.kfa.or.kr[...] 대한 축구 협회|KFA 2015-01-28
[13] 뉴스 [신년기획] 우리가 알아야 할 축구계 이슈 - 5 http://www.kfa.or.kr[...] 대한 축구 협회|KFA 2016-01-08
[14] 뉴스 아마추어 꼬리표 뗀 K3리그 개막 http://sports.khan.c[...] 스포츠경향 2018-03-22
[15] 웹사이트 https://www.yna.co.k[...]
[16] 웹사이트 https://sports.news.[...]
[17] 웹사이트 창원 유나이티드의 K3리그 자진탈퇴안내 http://www.kfa.or.kr[...]
[18] 문서
[19] 문서
[20] 문서
[21] 문서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